자유게시판

"카드 배송 기사입니다" 보이스피싱 여전…1분기 피해액 3116억

작성자 정보

  • VVIP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1~3월 보이스피싱 범죄 발생 5878건…전년 대비 17% 증가
피해액 전년비 120%↑…50대 이상 상대 기관사칭형 범죄 집중

카드 배송 등 기관 사칭형 보이스피싱 범죄가 여전히 기승을 부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27일 올해 1~3월 보이스피싱 범죄 발생 건수는 5878건으로 전년 대비 17.2% 증가했다고 밝혔다. 전체 피해액은 3116억 원, 건당 피해액은 5301만 원으로 각각 전년 대비 120.8%, 188.4% 늘었다.

국수본 측은 "지난해 증가세로 돌아선 보이스피싱 범죄 피해가 올해도 여전히 늘어나는 추세"라며 "특히 50대 이상을 상대로 한 기관 사칭형 범죄가 집중되고 있다"고 주의를 당부했다.

경찰은 이 같은 보이스피싱 증가세 원인으론 △지속적인 범죄시도 증가 △정교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큰 피해를 유발하는 기관 사칭형 범죄 비중이 늘어났다는 점 △ 범죄 대상이 보유 자산이 많고 악성 앱을 이용한 수법에 취약한 50대 이상에 집중된 점 등을 들었다.

올해 1분기 기관 사칭형 범죄 비중은 51%, 50대 이상 피해자 비중은 53%에 이른다.

카드 배송원 사칭 전화 수법은 지난해부터 급증했다. 카드가 발급됐다는 내용의 전화로 접근해 가짜 카드사 고객센터 번호를 알려주고, 이후 피해자가 가짜 고객센터에 전화하면 "개인정보가 유출됐거나 연동 계좌가 사고 계좌일 가능성이 높다"며 원격제어 애플리케이션(앱)을 깔도록 유도하는 식이다.

이후 악성 앱에 감염된 스마트폰으로 금융감독원인 것처럼 전화번호 표시를 바꿔 전화를 걸고, 다시 검찰청에 연락해 보라고 유도해 검찰 사칭범에게 연결하는 등 치밀한 시나리오로 피해자를 속인다. 이 과정에서 금감원 과장은 선한 역, 검사 역할은 악역을 맡아 피해자의 심리를 조정하기도 한다.

경찰청은 보이스피싱 피해 억제를 위해 지난해부터 시행 중인 악성 앱 설치 의심자에 대한 현장 구제 활동을 지속하고, 다각적인 보이스피싱 예방 홍보 콘텐츠 제작 및 연령별·지역별 맞춤 예방 교육을 병행하는 등 대국민 예방 활동을 이어나갈 계획이다.

곽병일 경찰청 마약조직범죄수사과장은 "보이스피싱 범죄가 날로 조직화·고도화되면서 범죄 발생 사후의 단속 활동만으로는 피해자의 온전한 피해 회복이 어렵다"며 "경찰도 보이스피싱 근절을 위해 총력 대응을 이어나가겠다. 국민들께서도 경각심을 갖고 유행 수법과 예방법 숙지에 늘 각별한 관심을 기울여 달라"고 강조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