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서 4살 아이가 밀쳐 치아 부러졌다면… 법원 "손해배상 3000만 원은 과해"
작성자 정보
- VVIP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587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어린이집에서 친구를 넘어뜨려 치아를 부러뜨린 아이의 부모가 피해배상을 하게 됐다.
16일 인천지법 부천지원 민사2단독은 A(4) 군과 그의 부모가 B(4) 군의 부모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소송에서 원고 일부 승소 판결을 내렸다.
재판부는 A 군과 그의 부모가 요구한 3000만 원이 아닌 120만 원만 지급하라고 B 군 부모에게 명령하고, 소송 비용의 90%를 A 군 부모가 부담하라고 했다.
2023년 2월 당시 4살이던 A군은 어린이집 화장실에서 넘어져 송곳니 끝부분이 부러졌고 아랫입술도 까졌다.
한 보육교사가 놀라 A 군과 옆에 있던 B 군에게 물어본 결과 B 군은 "내가 그랬어요"라고 고백했다. B 군이 친구인 A 군을 밀쳐 일어난 사고였다.
상황을 파악한 보육교사는 A 군과 B 군 엄마에게 각각 연락해 사고 사실을 알렸고, 이후 B 군 엄마는 A 군 엄마에게 "아이가 A 군에게 상처를 입혔다고 들었다. 입 안을 다쳤다고 들었는데 죄송하다"는 문자메시지를 보냈다.
또 B 군 부모는 피해를 변상해야겠다는 생각에 사건 발생 닷새 뒤 A 군 부모를 만났다. 치료비와 함께 선물도 준비했지만, A 군 부모는 거절했고 같은 해 5월 손해배상 소장을 법원에 냈다.
A 군 부모는 다친 아들에게 2000만 원을, 자신들에게는 각각 500만 원씩 총 3000만 원을 요구했다.
재판부는 "B 군 부모는 자녀가 이번 사고를 일으켰다는 사실을 다투지 않았다"며 "어린이집 안전공제회에 제출된 보고서를 봐도 B 군의 가해 행위로 이번 사고가 발생했다고 봐야 한다"고 전제했다.
이어 "B 군은 당시 만 4살로 자신의 행위로 인한 법률상 책임을 질 능력이 없었다"며 "민법에 따라 원고들의 손해를 배상할 책임은 B 군 부모에게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A 군 부모가 배상금으로 요구한 3000만 원은 지나치다고 판단했다.
재판부는 "손상된 A 군의 치아는 유치인 데다 이후에 변색이나 신경 손상 등이 발생하지 않았다"며 "실제 피해는 그리 크지 않았다"고 봤다.
또 "사고 후 B 군 부모가 사과 의사를 보이고 손해배상금을 마련해 전달하려 했다"며 "A 군 부모가 이를 거절하고 과다한 손해배상을 요구해 소송까지 한 점 등을 고려했다"고 덧붙였다.
16일 인천지법 부천지원 민사2단독은 A(4) 군과 그의 부모가 B(4) 군의 부모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소송에서 원고 일부 승소 판결을 내렸다.
재판부는 A 군과 그의 부모가 요구한 3000만 원이 아닌 120만 원만 지급하라고 B 군 부모에게 명령하고, 소송 비용의 90%를 A 군 부모가 부담하라고 했다.
2023년 2월 당시 4살이던 A군은 어린이집 화장실에서 넘어져 송곳니 끝부분이 부러졌고 아랫입술도 까졌다.
한 보육교사가 놀라 A 군과 옆에 있던 B 군에게 물어본 결과 B 군은 "내가 그랬어요"라고 고백했다. B 군이 친구인 A 군을 밀쳐 일어난 사고였다.
상황을 파악한 보육교사는 A 군과 B 군 엄마에게 각각 연락해 사고 사실을 알렸고, 이후 B 군 엄마는 A 군 엄마에게 "아이가 A 군에게 상처를 입혔다고 들었다. 입 안을 다쳤다고 들었는데 죄송하다"는 문자메시지를 보냈다.
또 B 군 부모는 피해를 변상해야겠다는 생각에 사건 발생 닷새 뒤 A 군 부모를 만났다. 치료비와 함께 선물도 준비했지만, A 군 부모는 거절했고 같은 해 5월 손해배상 소장을 법원에 냈다.
A 군 부모는 다친 아들에게 2000만 원을, 자신들에게는 각각 500만 원씩 총 3000만 원을 요구했다.
재판부는 "B 군 부모는 자녀가 이번 사고를 일으켰다는 사실을 다투지 않았다"며 "어린이집 안전공제회에 제출된 보고서를 봐도 B 군의 가해 행위로 이번 사고가 발생했다고 봐야 한다"고 전제했다.
이어 "B 군은 당시 만 4살로 자신의 행위로 인한 법률상 책임을 질 능력이 없었다"며 "민법에 따라 원고들의 손해를 배상할 책임은 B 군 부모에게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A 군 부모가 배상금으로 요구한 3000만 원은 지나치다고 판단했다.
재판부는 "손상된 A 군의 치아는 유치인 데다 이후에 변색이나 신경 손상 등이 발생하지 않았다"며 "실제 피해는 그리 크지 않았다"고 봤다.
또 "사고 후 B 군 부모가 사과 의사를 보이고 손해배상금을 마련해 전달하려 했다"며 "A 군 부모가 이를 거절하고 과다한 손해배상을 요구해 소송까지 한 점 등을 고려했다"고 덧붙였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