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부터 뜨는 새해 첫 해…우리 동네 해돋이는 몇시?
작성자 정보
- VVIP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762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2025년 새해 첫 해는 1일 오전 7시26분 독도에서 가장 먼저 볼 수 있다.
한국천문연구원에 따르면 을사년 첫 해돋이는 독도에서부터 시작되며, 오전 7시31분부터는 울산 간절곶과 방어진을 시작으로 내륙 지방에서도 해를 볼 수 있을 전망이다.
지역별 새해 일출 시각은 △서울 오전 7시47분 △부산 오전 7시32분 △대구 오전 7시36분 △인천 오전 7시48분 △세종 오전 7시43분 △대전 오전 7시42분 △광주 오전 7시41분 △울산 오전 7시32분 △제주 오전 7시38분 등이다.
발표된 일출 시각은 해발고도 0m를 기준으로 계산됐기 때문에 고도가 높을수록 일출 시각은 빨라진다. 해발고도 100m에서의 실제 일출 시각은 발표 시각에 비해 2분가량 빠르다.
동해안에서는 해돋이를 선명하게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기상청에 따르면 새해 첫날 전국 대부분 하늘에 가끔 구름이 많겠으나 강원 동해안과 경상권은 대체로 맑겠다. 따라서 강원 동해안과 경상권에서는 해돋이를 뚜렷하게 볼 수 있겠고, 그 밖의 지역에서는 낮은 구름 사이로 해돋이를 감상할 수 있겠다.
경기 북부와 강원 북부 내륙·산지는 흐린 날씨가 이어지겠다. 일부 강원 지역에는 눈이 약하게 내리겠다. 기상청은 "등산로가 미끄러운 곳이 많겠으니 산행 시 안전사고에 각별히 주의 바란다"라고 당부했다.
아침 최저기온은 -7~2도, 낮 최고기온은 6~11도이다. 특히 경기 북동부와 강원 내륙·산지는 아침 기온이 -10도 내외로 춥겠다.
한국천문연구원에 따르면 을사년 첫 해돋이는 독도에서부터 시작되며, 오전 7시31분부터는 울산 간절곶과 방어진을 시작으로 내륙 지방에서도 해를 볼 수 있을 전망이다.
지역별 새해 일출 시각은 △서울 오전 7시47분 △부산 오전 7시32분 △대구 오전 7시36분 △인천 오전 7시48분 △세종 오전 7시43분 △대전 오전 7시42분 △광주 오전 7시41분 △울산 오전 7시32분 △제주 오전 7시38분 등이다.
발표된 일출 시각은 해발고도 0m를 기준으로 계산됐기 때문에 고도가 높을수록 일출 시각은 빨라진다. 해발고도 100m에서의 실제 일출 시각은 발표 시각에 비해 2분가량 빠르다.
동해안에서는 해돋이를 선명하게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기상청에 따르면 새해 첫날 전국 대부분 하늘에 가끔 구름이 많겠으나 강원 동해안과 경상권은 대체로 맑겠다. 따라서 강원 동해안과 경상권에서는 해돋이를 뚜렷하게 볼 수 있겠고, 그 밖의 지역에서는 낮은 구름 사이로 해돋이를 감상할 수 있겠다.
경기 북부와 강원 북부 내륙·산지는 흐린 날씨가 이어지겠다. 일부 강원 지역에는 눈이 약하게 내리겠다. 기상청은 "등산로가 미끄러운 곳이 많겠으니 산행 시 안전사고에 각별히 주의 바란다"라고 당부했다.
아침 최저기온은 -7~2도, 낮 최고기온은 6~11도이다. 특히 경기 북동부와 강원 내륙·산지는 아침 기온이 -10도 내외로 춥겠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